[스크랩] 인체와 식품. 약초의 관계 및 작용

2012. 2. 11. 23:12건강 의료

 

 

[인체와 식품. 약초의 관계 및 작용]

 

▣ 맛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

 

1. 신맛은 간에 작용하여 수렴작용을 한다. 심장 동력의 절약, 축적을 한다. 물질을 거두어 들인다.

2. 쓴맛은 심장에 작용하여 조한 것을 없앤다. 심장의 동작을 억제하고 가라앉힌다. 물질을 굳히고

   열을 빼앗는다.

3. 단맛은 비장에 작용하여 조화시키고 완하시킨다. 영양을 돕고 보혈하며 소화기를 부드럽게한다.

   긴장을 완화한다.

4. 매운맛은 폐장에 작용하여 눅혀 주고 퍼져나가게 한다. 혈액순환을 왕성히 하고 호흡을 깊게하고

   조온한다. 발산하고 따뜻하게 한다.

5. 짠맛은 신장에 작용하며 굳은 것을 부드럽게 하고 녹인다. 피를 부드럽게 하고 급한 것을 늦춘다.

   물질을 부드럽게 만들거나 축축하게 한다.

6. 싱거운 맛은 7규를 잘 통하게 하고 배설을 잘하게 한다.

7, 향내나는 맛은 비장에 작용하고 땀을 내고 피를 맑게한다. 기분을 경쾌하게 한다.

8, 담백한 맛은 신장에 작용하고 피를 안정시키고 잘 스며들 게 한다.

 

 

 

▣ 승강부침(升降浮沈)

 

1. 가볍고 속이 빈 것은 뜨고 올라가며 무겁고 속이 실한 것은 가라앉고 내려간다.

2. 맛이 희박한 것은 올라가고 생기게 한다.(봄을 상징한다.) 기가 희박한 것은 내려가고 수렴한다.

   (가을을 상징한다.) 기가 진한 것은 떠오르고 자라게 한다.(여름을 상징한다.) 맛이 진한 것은 가

   라앉고 감춘다.(겨울을 상징한다.)

3. 맛이 슴슴한 것은 변화하고 번성하게 한다.(늦은 여름을 상징한다.)

4. 기와 맛이 모두 희박한 것은 뜨고 올라가며 맛이 후하고 기가 희박한 것은 가라앉고 내려간다. 맛

   이 희박하고 기가 후한 것은 뜨기도 하고 가라앉기도 한다. 기와 맛이 모두 후한 것은 내려간다.

5. 신 것과 짠 것은 올라가지 않으며 매운 것과 단 것은 내려가지 않는다. 찬 것은 뜨지 않으며 더운

   것은 가라앉지 않는다.

 

 

▣ 약초의 작용

 

1. 흙속에 있는 뿌리에서 그의 절반 위쪽은 약기운이 위로 올라가고 절반 아래는 밑으로 내려간다.

2. 가지로 된 약의 기운은 주로 팔다리로 간다.

3. 껍질로 된 약의 기운은 주로 피부로 간다.

4. 속대가 있는 줄기약은 주로 속으로 들어가고 또 장부로 들어간다.

5. 질이 가벼운 것은 위로는 심장과 폐에 들어가 작용하고 아래로는 간과 신장에 들어가 작용한다.

6. 속이 빈 약초는 발산시키는 작용을 한다.

7. 속이 실한 약초는 속을 다스린다.

8. 마른 약은 기에 간다.

9. 윤택한 약은 혈에 간다.

 

 

 

▣ 5미상극(五味相克)

 

1. 신맛을 가진 약초는 근육 즉 힘줄을 상한다. 신맛은 졸아들 게 하는 작용이 있으므로 힘줄을 가드

   라 들게 한다. 매운맛은 신맛을 이긴다.

2. 쓴맛은 기를 상한다. 또는 기를 사한다. 짠맛은 쓴맛을 이긴다.

3. 단맛은 살을 상한다. 단맛은 늘어지게 한다. 신맛은 단맛을 이긴다.

4. 매운맛은 피모를 상한다. 주리를 열어서 발산시킨다. 쓴맛은 매운맛을 이긴다.

5. 짠맛은 혈을 상한다. 짠맛은 배설시킨다. 단맛은 짠맛을 이긴다.

 

(출처: 중국 "본초강목")

 

 

 

 

 

[약을 먹는 방법]

 

▣ 병 치료에 해로운 음식물

 

1. 열병을 앓은 뒤에는 순채를 먹지 말것이다.

2. 고질병이 있으면 곰고기를 일생동안 먹지 말 것이다.

3. 목욕전에는 복숭아를 먹지 말것이다.

4. 죽을 먹은 뒤에는 끓인물을 먹지 말것이다.

5. 뜨거운 고기국을 먹은뒤에는 찬물을 먹지 말것이다.

 

 

▣ 약을 먹는 방법

 

1. 병이 가슴 위에 있으면 식후에 약을 먹는다.

2. 병이 명치아래에 있으면 식전에 먹는다.

3. 병이 팔다리와 혈맥에 있으면 빈 속에 먹는 것이 좋은데 아침 식전에 먹는 것이 더 좋다.

4. 병이 골수에 있으면 배가 부를 때 먹는데 밤에 먹는 것이 좋다.

5. 병이 몸 윗도리에 있으면 약을 센 불로 멀겋게 달여서 천천히 마시는 것이 좋다.

6. 병이 아랫도리에 있으면 약한 불로 진하게 달여서 빨리 마시는 것이 좋다.

7. 병이 윗도리에 있을 때에는 약을 조금씩 여러번에 마신다. 그러면 약기운이 윗도리에 많이 간다.

8. 병이 아랫도리에 있을 때에는 약을 단번에 많이 마신다. 그러면 약기운이 아래로 많이 내려간다.

9. 성질이 찬 약은 덥게 하여 마시고 성질이 더운 약은 차게 해서 먹는 것이 좋다.성질이 차지도 덥

   지도 않은 평한 약은 따뜻하게 해서 먹는다.

10. 토할 것 같아서 약을 넘기기 어려울 때에는 천천히 한 숟가락씩 먹는다.

11. 신장을 보하는 약은 새벽 4~5시경에 먹는다.

 

 

 

▣ 탕약, 산약, 환약, 단약을 만드는 방법

 

1, 병이 몸의 제일 웃 부위에 있으면 약에 술을 더 넣어 달여서 먹는다.

2, 병이 가슴에 있으면 약에 꿀을 더 넣어 달여서 먹는다.

3, 산약이란 보드랍게 가루 낸 약이다.

4, 병이 몸 아랫도리에 있을 때에는 알약을 아주 크게 만들어 쓴다.

5, 병이 중초에 있을 때 쓰는 알약은 아랫도리의 병에 쓰는 약보다 알을 좀 작게 만들어 쓴다.

6, 병이 윗도리에 있을 때 쓰는 알약은 아주 작게 만들어 쓴다.

7, 된풀로 만든 알약은 더디게 풀리므로 하초에 약기운이 이르게 한다.

8, 술이나 식초로 반죽하여 알약을 만든 것은 헤진 것을 수렴한다.

9, 끼무릇이나 천남성, 습을 없애는 약은 생강즙을 두고 쑨 풀로 알약을 만드는데 그것은 독성을 억

   제하기 위해서이다.

10, 멀건풀로 알약을 만든 것은 먹으면 즉시 풀린다.

11, 꿀로 알약을 만든 것은 더디게 풀리면서 약기운이 경락을 따라 돌아가게 한다.

12, 황랍으로 알약을 만든 것은 약이 오래 풀리면서 효과가 천천히 나타난다.

13, 탕약이란 탕자는 확 씻어내린다는 탕자의 뜻이 있는데 오래된 병을 낫게 한다.

14, 산약이란 산자는 헤쳐 버린다는 뜻이 있는데 급한 병을 낫게 한다.

15, 환약이란 환자는 완만하다는 완자의 뜻이 있는데 병을 천천히 낫게 한다.

16, 단(丹)은 환(丸)보다 크게 만든것이다.

 

<출처: 중국 고의서 '황제내경' 소문(素問)>

 

 

 

 

출처 : 聚緣
글쓴이 : 염화소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