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외국 가요] 나나 무스쿠리(Nana Mouskouri) 노래 모음 - Me T`Aspro Mou Mantili (하얀 손수건) 외 20곡

2013. 12. 29. 07:57듣고싶은 곡

아테네의 흰 장미

나나 무스쿠리(Nana Mouskouri)

 

 

 

01.~ 18. 연속 듣기

 

 

01. Me T'Aspro Mou Mantili (하얀 손수건, 무스쿠리 자국어 버전)

* 타이틀과 가사가 그리스어라서 원제가 ‘하얀 손수건’인지는 알 수 없으나, 국내에선 1969년 ‘트윈 폴리오’(47년생 동갑 포크 듀엣, 송창식·윤형주)가 '하얀 손수건'이란 제목으로 번안하여 불렀다. 통기타 또는 번안곡 전성시대로 대변되는 70년대 세대에겐 귀에 익은 추억 어린 노래다. 무스쿠리는 여러 차례 내한 공연을 가졌는데 몇 년 전 내한 시 대구공연에서 우리 번안곡 '하얀 손수건'을 한국어로 직접 부르기도 했다.  

 

02. La Dame De Coeur (Ace Of Sorrow : 슬픈 운명, 샹송버전)

 

03. Au Coeur De Septembre (Try to Remember, 샹송버전)

* 'Brothers Four'의 노래(팝송)와 함께  <http://blog.daum.net/seonomusa/2303>

 

04. Libertad (자유의 노래, 스페인어 버전)

* 원곡은 베르디의 오페라 <나부코> 제3막 "히브리 노예들의 합창"으로  로시니/모테나 합창단의 노래와 함께

무스쿠리의 영어버전(Song For Liberty)은  <http://blog.daum.net/seonomusa/2792>

 

05. Erev Shel Shoshanim (밤에만 피는 장미, 원곡은 이스라엘 민요)

* 국내에선 70년대 초 ‘밤에 피는 장미’로 번역, 소개되었다. 이후 1977년 제1회 MBC대학가요제에서 이명우가 우리 고전(고려가요) ‘청산별곡’을 ‘가시리’란 제목으로 번안하여 부른 후 여러 가수가 불러왔다.

 

06. Alle Vögel sind schon da (벌써 새들이 왔네. 독일어 버전)

* 우리 동요 "솔솔 부는 봄바람"의 원곡으로, 독일 민요(동요)다.

 

07. Chiquitita (치키티타) ‘작고 귀여운 소녀’란 뜻, 팝송)

* 스웨덴 출신의 혼성 팝그룹 ‘아바(ABBA)’의 노래가 유명하다.

 

08. Caruso (카루소, 칸초네)

* 이탈리아 출신의 전설적인 테너 ‘엔리코 카루소’(Enrico Caruso, 1873~1921)의 일생을 노래한 칸초네다. 루치오 달라(Lucio Dalla)의 곡으로 루치아노 파바로티 등 유명 성악가와 유명 대중가수들이 불렀다.

 

09. Donde Voy (돈데 보이, 스페인어로 ‘나는 어디로 가야 하나요?’란 뜻)

* 원가사도 스페인어로 되어 있다. 영어 번안곡 제목은 ‘Tears(눈물)'이다.

* 이 노래는 멕시코계 미국인 여가수 ‘티시 이노호사((Tish Hinojosa, 1955~)가 불러 유명해졌다(1989년 1집 앨범<Homeland>에 수록). 이 노래는 멕시코인들이 가난에서 벗어나기 위해 국경을 넘어 미국으로 불법입국을 시도하다 죽음을 당한 멕시칸들의 슬픈 이야기를 담고 있다.

 

10. Million Of Red Roses (백만 송이 장미)

* 국내에서도 많은 대중가수들이 불러 잘 알려져 있다. 대만 출신 여가수 ‘치유(Chyi Yu)’의 노래도 귀에 익다. 원곡은 러시아의 시인 '안드레이 바즈니센스끼'의 시에 '라이몬드 빠울스'가 곡을 붙이고, 배우이자 가수인 '알라 푸가쵸바(Alla Pugatcheva)'가 노래하여 크게 히트한 곡이다.

 

11. Le Souvenir (로망스)

* 영화 ‘금지된 장난’의 주제곡. 가사는 세르주 라마가 프랑스어로 붙였다. '로망스'보다는 '회상'이 원 뜻에 더 부합한다. 영화 ‘금지된 장난(Jeux Interdits, 프랑스 1952년)’은 제2차 세계대전 당시 파리 근교를 무대로 한 작품으로, 비행기 폭격으로 부모를 잃은 5세의 소녀 폴레트와 농부의 아들인 11세 소년 미셸의 순진무구한 눈을 통해 전쟁을 목가적인 풍경으로 묘사한 흑백필름의 반전영화이다.

 

12. L'amour En Heritage (사랑의 유산, 샹송버전, 영어버전의 제목 ‘Only Love')

 

13. Lascia Ch'io Pianga (울게 하소서)

* 원곡은 헨델의 오페라 ‘리날도(Rinaldo)’ 제2막에 나오는 아리아. 파리넬리 OST

*‘사라 브라이트만’의 노래가 유명. 그녀의 노래는  <http://blog.daum.net/seonomusa/1731>

 

14. La Paloma (라 팔로마)

* ‘팔로마’는 ‘비둘기’란 뜻. 1863년 Sebastián Iradier(스페인)가 작곡. 많은 가수들이 부른 노래로 귀에 익다.

 

15. Cu cu ru cu cu Paloma (슬피 우는 비둘기)

16. Historia De Un Amor (사랑의 역사)

17. Solveig's Song(솔베이지의 노래)

* 원곡은, 입센의 환상 시곡(페르퀸트)을 무대음악으로 작곡한 그리그(E. H. Grieg)의 '페르퀸트' 제2모음곡(Op. 55) 중 제4곡으로 <http://blog.daum.net/seonomusa/1652> 참조.

 

18. L'enfant Au Tambour (북치는 소년, 프랑스어 버전) * 너무나도 귀에 익은 크리스마스 캐럴.

 

[번외 노래]

* Plaisir d'Amour(사랑의 기쁨) <http://blog.daum.net/seonomusa/123>

* Amazing Grace(놀라운 은총)  <http://blog.daum.net/seonomusa/158>

* Over and Over(몇 번이고 수없이) <http://blog.daum.net/seonomusa/283>

   

 

<2013년 현재 80세(34년생)의 할머니! 구체적인 것은 '사랑의 기쁨' 등의 해설문  참조>

 

 

 <Photo(White Iceberg Rose) by Daum blog 'Coffeebreak' in Southern California>

 

 

Compiled by <http://blog.daum.net/seonomusa>

출처 : 서노무사실무노동법연구실
글쓴이 : 미학 서영림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