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작품은 베토벤에게 있어서 소위 ‘명작의 숲’이라 불리우는 1803년에서 1809년의 기간 중 그 한 복판인 1806년에 작곡된 작품으로, 바로 전 해에 작곡된 교향곡 5번, 그리고 이듬해 작곡된 교향곡 6번 ‘전원’이 말해주듯 가장 창작욕이 왕성했던 시절의 그를 말해주는 작품이다.
당시 베토벤의 편지에 의하면 이 작품은 원래 한 곡으로 완결되는 피아노 소나타로 구상되었으나 이후 편성과 구성의 확대로 트리오 그리고 작품 70의 1,2번 두 곡으로 분화되었음을 말해준다.
그런 이유에서인지 삼중주 5번은 당시의 작품들에 비해 그리 치밀한 구성미를 갖추지 못한 것이 사실이지만 2악장 라르고의 불가사이 하고 환상적인 분위기는 당시부터 대단한 인기를 끌었으며 이 작품으로 하여금 ‘유령’이라는 별칭을 갖도록 만들었다.
제1악장 Allegro vivace e con brio D장조 3/4박자 소나타 형식
제2악장 Largo assai ed espressivo d단조 2/4박자
제3악장 Preseto D장조 2/2박자. 소나타 형식에 의한 명랑한 악장
베토벤, 피아노트리오 제5번 D장조 작품 70-1 “유령”
베토벤의 피아노 3중주 1번에서 3번 까지는 작품 번호 1번에 포함되어 있고 4번은 작품 11, 그리고 오늘 연주될 3중주 5번 유령은 6번과 함께 작품 70으로 출판되어 4번까지의 3중주곡과는 상당한 간격이 있으며 그만큼 음악적 내용도 다르다. 다시 말해 젊은 날의 습작기를 거쳐 유령이 작곡된 1808년은 이미 교향곡 5.6번과 황제협주곡이 작곡된 소위 걸작의 숲으로 불려지던 시기였다는 점에서 베토벤다운 열정과 중후함을 맛볼 수 있다.
이곡을 유령이라 부르는 이유는 2악장 라르고의 우울하고 신비로운 느낌 때문인데 그만큼 전 3악장은 독창적인 베토벤의 원숙미를 느낄 수 있다. 1악장은 알레그로의 소나타 형식으로 처음부터 힘차고 발랄하게 시작하며 힘을 늦추지 않은 채 2악장의 느린 라르고로 들어가면 신비롭고도 환상적인 분위기가 음울한 정서를 맛보게 한다. 마지막 3악장은 다시 빠른 프레스토로 2악장과는 전혀 다른 경쾌함이 화려한 클라이막스를 이루며 끝난다.
유령 3중주(도. Geistertrio): 베토벤의 피아노 삼중주 라장조 작품70의1의 애칭. 이 곡의 제2악장에서 피아노 주자가 트레몰로 화음을 여리게, 반음계를 괴이하게 연주하여 붙은 이름. 2악장 라르고의 불가사의하고 기이한 분위기로 유령이라는 제목이 붙었다하는데... 1악장의 다소 들뜬(?) 분위기는 제목과 안 어울리는 것 같다.
피아노 삼중주는 피아노, 첼로, 바이올린으로 구성되어 연주하는 형식이다. 베토벤의 모두 7개의 삼중주 곡을 작곡했는데 그중 이 라장조 Op.70-1의 <유령>과 내람나장조 Op.97<대공> 이란 작품이 유명하다.